수필 (삼단논법)

온종일 삯방아를 찧어 죽 한 그릇을 들고 부지런히 어린 자식들에게로 돌아가던 한 여인이 고개 밑에서 범을 만났다. 그리하여 이 애중히 여기는 죽을 빼앗기고 왼쪽 팔에서 바른쪽 팔로 왼쪽다리에서 바른쪽 다리로 다만 살고 싶은 마음에 이처럼 그 범에게 주어 오다가 야금야금 베어 먹던 범에게 마지막에는 자기의 생명까지도 빼앗기고 마는 고담이 있다.

이것을 다만 고담으로 돌리면 그만이다. 그러나 나는 이 이야기 속에서 약한 자의 어찌할 수 없는 사정과 체념에 가까운 운명관을 느낀다. 그리해서, ‘그리해서 그 다음은 어찌 됐어요’ 가 아니다. 소위 소화 십일 년, 이해는 천구백삼십육 년이었지만 나는 동경에 있을 때 고향에서 오는 신문에서 이런 소식을 들었다. 서울 어의동 공립 보통학교 일인 교사가 이제부터는 조선어 교과서의 교수를 할 필요가 없다고, 곧 이것을 실현에 옮긴 것이다.

테러라는 것을 생각해 본 것도 그때였다. 아직 사건이 좀 더 크게 벌어지기 전에 그 교사 놈의 대가리로 아싹 때려 부쉈으면… 하고, 그러나 이러한 생가가을 한 것은 비단 나 뿐이 아니었을 것이다. 그렇지만 그 후에도 아무 일없이 지난 것은 내 앞에 섰는 범에게 우선 죽 한 그릇을 주기 시작했기 때문일 게다.

삯방아 질을 하는 여인네의 신세는 그 전만이 아니다. 이것은 약소민족의 영원한 표증이다. 지금의 우리는 날마다 생겨나는 일에서 어떠한 것을 목격하고 있는가. 뭐라고 말을 하랴. 자 칫 잘못하면 … 이 아니라 우리의 앞에는 밑이 없는 배때기를 가진 범이 우리를 감시하고 있다. 여기서 나는 내게 이익 되도록 삼단논법을 제기한다.

품 파는 아낙네와 소화 십일 년도의 조그만 사건과 또 이마적‘에 하루도 쉴 새 없이 꼬드겨 나오는 어슷비슷한 일들을…

– [신문학] 1946. 11. 오장환 –

Leave a Reply

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:

WordPress.com Logo

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.com account. Log Out /  Change )

Twitter picture

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. Log Out /  Change )

Facebook photo

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. Log Out /  Change )

Connecting to %s

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.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.